지식창고/Linux&Unix
[리눅스/Linux] netstat 명령어와 사용 방법
IT 하는 남자 송대리
2021. 11. 21. 21:56
반응형
netstat 명령어란?
- netstat(network statistics) 명령어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 라우팅 테이블 등 수 많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또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프로토콜 통계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명령 줄 도구이다.
- 출처 : 위키백과(wikipedia)
netstat 명령어 옵션
- -a : 현재 다른 서버 또는 PC와 연결, 리스닝 되어있는 모든 포트 번호를 확인한다.
- -n : 현재 다른 서버 또는 PC와 연결되어 있는 포트 번호를 확인한다.
- -s : IP, ICMP, UDP 프로토콜의 상태 확인한다.
- -u : UDP 프로토콜을 보여준다.
- -t : TCP 프로토콜을 보여준다.
- -c : 1초 단위로 보여준다.
- -p : 프로토콜에서 사용 PID를 보여준다.
- -e : 랜카드에서 송수신한 패킷의 정보를 확인한다.
- -r : 라우팅 테이블 확인과 연결된 있는 포트 번호를 확인한다.
netstat 명령어 실제 사용
- 보통 사용할 경우 grep 명령어를 추가로 사용하여 IP 또는 port를 검색하여 연결을 확인합니다.
IP로 검색
# netstat -anp | grep 8.8.8.8
포트로 검색
# netstat -anp | grep 8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