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dd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정된 디스크에 특정 % 까지 파일이 생성되는 시스템이 있었는데 해당 디스크에 더 이상 파일이 생성되지 않게 %를 맞춰야 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때 dd 명령어를 통해 20GB의 더미 파일을 생성해서 %를 한계까지 맞춰 생성되지 않게 했습니다.
dd 명령어와 어떤 명령어로 저런 조치를 했는지 제 경험을 써 보려고 합니다.
1. dd 명령어란?
dd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디스크 또는 파티션 복사를 할 수 있고, 파일의 생성 및 변환 등을 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dd 명령어는 실제 디스크를 제어할 수 있는 만큼 다루는데 주의가 필요합니다.
2. dd 명령어 자주 쓰는 옵션
아래와 같은 옵션들을 자주 사용한다.
- if : 소스 파일의 위치를 지정
- of : 생성 파일의 위치와 파일 명을 지정
- bs : 한 번에 읽고 쓰는 최대 바이트 크기 설정
- count : 복제할 블록의 수를 설정
blok size 단위
- c : Character [1 bytes]
- k : Kilo Bytes [1024 bytes]
- b : Block [512 bytes]
- w : Word [2 bytes]
3. dd 명령어로 더미 파일 생성하기
/dev/zero 같은 스페셜 디렉토리를 사용하여 더미 파일을 생성합니다. 저는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해서 실제 더미 파일을 만들어 작업에 이용하였습니다.
20GB의 더미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
dd if=/dev/zero of=dumy_file bs=1024k count=20000;
반응형
'지식창고 > Linux&Un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실행시간 측정 명령어 사용 방법(time) (0) | 2025.02.08 |
---|---|
Unix(유닉스) 이전 명령어 단축키와 간단한 키보드 단축키 (0) | 2025.02.07 |
[Linux] mv 명령어 Directory not empty 오류 해결 방법 (0) | 2025.01.19 |
[리눅스/Linux] centos7 7.9 버전 iso 다운로드 (0) | 2023.08.15 |
[리눅스/Linux] centos7 iso DVD, Everything, Minimal 차이점 (0) | 202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