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 정보

(45)
큐브리드(cubrid)와 오라클(oracle) 데이터타입 매핑 방법 안녕하세요. 큐브리드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큐브리드는 관계형 DBMS로 대용량 데이터 처리 능력 및 성능, 안정성, 가용성, 관리 편의성을 제공하는 국산 RDBMS입니다. 오늘은 이런 큐브리드와 아주 유명한 RDBMS인 오라클 간에 데이터타입 매핑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수치형오라클은 정수형이 하나인 것에 반해 큐브리드는 네 가지의 정수형 타입을 가지고 있습니다.큐브리드오라클BIGINTNUMBERSMALLINTNUMBERINTEGERNUMBERNUMBERIC(A, B)NUMBER (A, B)DOUBLEBINARY_DOUBLEFLOATFLOAT 2. 비트BLOB은 동일하게 BLOB으로 매핑되는데, 큐브리드에서는 BIT VARYING으로도 사용합니다.큐브리드오라클BLOBBLOBSTRINGCLOBB..
큐브리드(cubrid)와 오라클(oracle) 문법 변환 방법 안녕하세요. 큐브리드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큐브리드는 관계형 DBMS로 대용량 데이터 처리 능력 및 성능, 안정성, 가용성, 관리 편의성을 제공하는 국산 RDBMS입니다. 오늘은 이런 큐브리드와 아주 유명한 RDBMS인 오라클 간에 문법 변환을 간단하게 몇 가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1. 단순 문법 변환큐브리드와 오라클 간에 아래와 같이 변환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큐브리드오라클ORDERBY_NUMROWNUMLIMIT 1ROWNUM = 1LIMIT {START}, {END}OFFSET {START} ROWS FETCH NEXT {END} ROWS ONLYSYSDATETIMESYSDATEDIFFERENCEMINUSSELECT 1 FROM DB_ROOTSELECT 1 FROM DUALGROUP BY {SEL..
[리눅스] dd 명령어와 더미 파일 만들기 오늘은 dd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정된 디스크에 특정 % 까지 파일이 생성되는 시스템이 있었는데 해당 디스크에 더 이상 파일이 생성되지 않게 %를 맞춰야 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때 dd 명령어를 통해 20GB의 더미 파일을 생성해서 %를 한계까지 맞춰 생성되지 않게 했습니다. dd 명령어와 어떤 명령어로 저런 조치를 했는지 제 경험을 써 보려고 합니다. 1. dd 명령어란?dd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디스크 또는 파티션 복사를 할 수 있고, 파일의 생성 및 변환 등을 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dd 명령어는 실제 디스크를 제어할 수 있는 만큼 다루는데 주의가 필요합니다. 2. dd 명령어 자주 쓰는 옵션아래와 같은 옵션들을 자주 사용한다.if : 소스 파일의 위치를 지정of : 생성 파일의..
[리눅스] 실행시간 측정 명령어 사용 방법(time) 리눅스에서 명령어 실행시간을 측정하고 싶을 때가 있다. 이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바로 time이다. 오늘은 간단하게 time 명령어를 알아보려고 한다. 1. 실행시간 측정 명령어 timetime 명령어는 명령어 실행시간을 측정할 때 사용한다.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사용하던 명령어 바로 앞에 time이라고 입력해 주면 된다. 아래 예시를 참고해 보자.프로그램(스크립트)명령어# 쉘스크립트 실행 시 시간 측정time ./sp_start.sh# 명령어 실행 시 시간 측정time ls /filedata/2025/02/08/ | wc -l 출력 결과는 real, user, sys 3가지로 출력된다.real 0m6.329suser 0m0.017ssys 0m0.012s real은 총 실행시간이다.us..
Unix(유닉스) 이전 명령어 단축키와 간단한 키보드 단축키 리눅스 서버와 다르게 유닉스 서버는 화살표라던지 이전 명령어를 화살표 윗키를 이용해도 먹히지 않는다던지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때 유닉스는 특별한 단축키를 입력해서 해결할 수 있다. 이전 명령어 단축키와 그 외 간단한 키보드 단축키를 알아보고 추가로 내가 경험한 유익한 명령어를 하나 더 알려드리려고 한다. 1. 유닉스 이전 명령어 단축키CLI 서버에서 자주 사용하는 이전에 사용한 명령어를 호출하는 단축키이다. 리눅스에선 간단하게 화살표 위, 아래를 통해 했던 작업이 안돼서 어떻게 하지 난처했던 기억이 난다. 방법은 아래와 같이 해보면 된다. 1-1. 이전 명령어 불러오는 단축키사용할 때 ESC 키를 꾹 누르고 k를 한 번씩 누르면 이전에 사용했던 명령어들이 순서대로 나온다.'ESC 키' + k 1..
[자바] Package should contain a content type part [M1.13] 오류 해결 방법 자바로 poi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엑셀 파일 데이터를 내려받는 간단한 프로그램을 구현하던 중에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다. Package should contain a content type part [M1.13] 이 오류는 왜 발생하고 어떻게 해결하면 되는지 정리해 보았다. 1. 오류 발생 원인Package should contain a content type part [M1.13] 오류 발생 원인은 다양한데, 가장 자주 발생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았다.엑셀 형식이 맞지 않을 때엑셀 파일이 손상되었을 때엑셀 파일이 어떠한 이유로 암호화되어 보호되고 있을 때엑셀 파일이 잠금 되어 있을 때형식이 맞지 않을 때는 확장자가 xls인지 xlsx인지 확인을 해서 객체를 만들어줄 때 이에 맞는 객체를 사용했는지..
[자바] 엑셀 파일을 Map에 담아 화면에 출력하는 방법 최근 작업을 하다 엑셀로 많은 데이터를 날짜별로 중복된 항목들 중 가장 큰 값을 가진 것과 그 외 것을 분류할 필요가 생겼다. 그래서 엑셀 파일을 읽고 그 데이터를 날짜별로 모아 정렬해서 따로 출력하도록 만들어보았다. 아래 내용은 그러한 내용들을 정리해본 내용이다. 1. 엑셀 파일 읽어오기엑셀 파일을 읽어오기 위해서 Poi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 엑셀 라이브러리이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https://archive.apache.org/dist/poi/release/src/ Index of /dist/poi/release/src archive.apache.org 2. Poi 라이브러리 사용 예시엑셀 선언XSSFWorkbook workbook = new XSSFWorkbook(); // ..
[Linux] mv 명령어 Directory not empty 오류 해결 방법 파일들을 관리하다 보면 한 디렉터리에 다른 파일들을 무브 시켜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명령어는 mv입니다만 mv 명령어가 유일하게 안 되는 문제는 바로 디렉터리 병합이 안된다는 점이 있습니다. 옮기려고 하는 디렉터리에 이미 파일이 존재하고 있다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mv: cannot move 'xxx' : Directory not empty 이러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몇 가지를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또한 방법마다의 장단점도 함께 알려드리려고 하니 끝까지 읽어주시면 해결하려는 문제에 도움이 되실 겁니다. 1. rsync 명령어1-1. rsync 명령어 개요rsync 명령어를 사용해서 옮기는 방법입니다. 다만 이 방법의 단점은 파일을 옮기는 게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