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6) 썸네일형 리스트형 큐브리드(cubrid)와 오라클(oracle) 데이터타입 매핑 방법 안녕하세요. 큐브리드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큐브리드는 관계형 DBMS로 대용량 데이터 처리 능력 및 성능, 안정성, 가용성, 관리 편의성을 제공하는 국산 RDBMS입니다. 오늘은 이런 큐브리드와 아주 유명한 RDBMS인 오라클 간에 데이터타입 매핑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수치형오라클은 정수형이 하나인 것에 반해 큐브리드는 네 가지의 정수형 타입을 가지고 있습니다.큐브리드오라클BIGINTNUMBERSMALLINTNUMBERINTEGERNUMBERNUMBERIC(A, B)NUMBER (A, B)DOUBLEBINARY_DOUBLEFLOATFLOAT 2. 비트BLOB은 동일하게 BLOB으로 매핑되는데, 큐브리드에서는 BIT VARYING으로도 사용합니다.큐브리드오라클BLOBBLOBSTRINGCLOBB.. 큐브리드(cubrid)와 오라클(oracle) 문법 변환 방법 안녕하세요. 큐브리드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큐브리드는 관계형 DBMS로 대용량 데이터 처리 능력 및 성능, 안정성, 가용성, 관리 편의성을 제공하는 국산 RDBMS입니다. 오늘은 이런 큐브리드와 아주 유명한 RDBMS인 오라클 간에 문법 변환을 간단하게 몇 가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1. 단순 문법 변환큐브리드와 오라클 간에 아래와 같이 변환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큐브리드오라클ORDERBY_NUMROWNUMLIMIT 1ROWNUM = 1LIMIT {START}, {END}OFFSET {START} ROWS FETCH NEXT {END} ROWS ONLYSYSDATETIMESYSDATEDIFFERENCEMINUSSELECT 1 FROM DB_ROOTSELECT 1 FROM DUALGROUP BY {SEL.. [오라클] 상태: 실패 -테스트 실패: Listener refused the connection with the following error:ORA-12505, TNS:listener does not currently know of SID given in connect descriptor 오류 발생 시 조치 방법 db를 접속하려고 할 때 ora-12505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조치 방법을 함께 알아보시죠. 오류 메세지 상태: 실패 -테스트 실패: Listener refused the connection with the following error:ORA-12505, TNS:listener does not currently know of SID given in connect descriptor 리스너 상태 확인 오라클 리스너 상태를 확인합니다. lsnrctl status 리스너 상태가 UNKNOWN 상태로 표기되고 이상합니다. 리스너 설정 파일을 확인해봐야 합니다. c:\app\test\product\dbname(임의)\homes\OraDB21Home1\network\admin\ listener.ora 파일과 tn.. [오라클] 상태: 실패 -테스트 실패: IO 오류: The Network Adapter could not establish the connection 오류 발생 시 조치 방법 오라클 DB를 처음 설치하거나 재기동했을 때, 예기치 않게 IP가 변경되는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해당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당 오류가 발생했을 때 몇 가지 확인할 방법을 알아봅니다. 오류 메세지 상태: 실패 -테스트 실패: IO 오류: The Network Adapter could not establish the connection 해당 메시지는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네트워크 장애로 DB와 통신을 못한다는 내용입니다. DB 자체에 결함이 있는 것은 아닐 가능성이 높으며 단순히 통신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라클 리스너를 확인해보자 가장 먼저 확인해볼 만한 것은 오라클 리스너의 상태입니다. 아래 세 가지를 차례대로 확인해봅니다. 오라클 리스너가 비정상적인 상태로 실행 중 오라.. [MariaDB&MySql]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모음 2 MariaDB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모음 2 1. 테이블 구조 확인 desc [테이블 명]; 2.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테이블 명] ( [컬럼 명] [컬럼 정보...] ); +생성 제약 조건 PRIMARY KEY (기본키) UNIQUE KEY (고유키) FOREIGN KEY (외래키) not null (null값 비허용) 3. 테이블 삭제 drop table [테이블 명]; 4. 테이블 이름 변경 rename table [현재 테이블 명] to [신규 테이블 명]; 5. 테이블 데이터 구조 수정 # 테이블에 신규 컬럼 추가 alter table [테이블 명] add column [컬럼 명] [컬럼 정보 ...]; # 테이블의 특정 컬럼 구조 수정 alter table [테이블 명] mod.. [MariaDB&MySql]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모음 1 MariaDB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모음 1 1. 데이터베이스 목록 보기 show databases; 2. 사용할 데이터베이스 접속하기 use [DATABASE 명]; 3. 접속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목록 보기 show tables; 4. 사용자, 접속 권한 등 확인하기 select user, host from mysql.user; user : 사용자 계정 host : 사용자 계정 접속 가능한 호스트 host 설명 % 어디서든 접속 가능 localhost 해당 서버에서만 접속 가능 192.168.1.180 지정한 IP에서만 접속 가능 192.168.1.* 192.168.1. 대역의 모든 IP에서 접속 가능 5. 사용자 생성 create user [NEW ID]@[접속 가능한 대역 설정] identifie.. 이전 1 다음